부모와 자녀 간의 대화법! 말이란 본래 "어" 다르고 "아" 다르다는 우리의 옛말이 있듯이 사람 간의 대화에서 모음 하나만 바뀌어도 그 뜻이 천양지차가 생기는 법이다. 우리는 부모와 자녀 ..
부모와 자녀 간의 대화법 말이란 본래 "어" 다르고 "아" 다르다는 우리의 옛말이 있듯이 사람 간의 대화에서 모음 하나만 바뀌어도 그 뜻이 천양지차가 생기는 법이다. 우리는 부모와 자녀 간에 나누는 대화에서 어떻게 올바른 대화(상대방. 자녀에 대하여)를 하고 있는 것일까? 아니면, 나의 기분과 감정에 치우친 대화로 상대방의 기를 죽이는 일방적인 대화를 하고 있지는 않는가? 말이란 우리네 일상에서 눈을 뜬 순간에서 잠을 자는 시간을 제외하고는 항시 의사를 나누는 표현의 수단임에도 우리는 아무런 생각 없이 대화를 하고 있지는 않는가 생각한다. 본 칼럼의 자료를 보고 보다 성숙된 대화법으로 올바른 자녀교육과 더불어 나 자신, 가정, 그리고 Social Communuty에서 성공적인 대화를 나누었으면 한다.
의사소통이란 상호 존중에 기초를 둔 의견 교환을 뜻합니다. 「상호 존중」이란 부모와 자녀가 감정적으로 서로 거부된다는 두려움 없이 솔직하게 자신의 신념과 느낌을 표현하도록 허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것은 또한 다른 사람이 말한 것을 받아들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부모가 자녀의 의견에 대해 동의하지 않을 때에도 자녀의 감정을 받아들인다는 태도는 보여줄 수 있습니다. 부모가 사용하는 어휘나 억양을 통해 수용의 자세를 나타내 보일 수 있습니다.
효과적으로 듣기 위해서는 집중이 필요합니다. 그것은 「내가 듣고 있다」는 자세와 시선을 마주치는 것으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때때로 잘 듣기 위해서는 침묵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때로는 반응도 필요합니다.
부모는 자식을 잘 알지 못하고 자녀들은 부모님의 말씀을 이해하지 못하는 참 어려운 시대!
어찌할거나? 오호. 통제로다.

백의 초등학교에서. 2021. 5. 24. 부모와 자식 간의 대화법 강의.
소통은 이렇게 해야 한다.
나의 이야기는 줄이고 너의 이야기는 많이 들어 보자!
인간의 의사 소통은 폐쇄적 반응과 개방적 반응의 관점에서 기술될 수 있습니다.
반영적 경청이란 자녀가 느끼고 의미하는 것을 파악하는 것으로 어린이로 하여금 자신을 볼 수 있게 하며 다시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의사소통을 폐쇄적 반응과 개방적 반응으로 나누어 볼 때, 폐쇄적 반응은 청자가 잘 듣지 않고 들은 말에 대해서 이해도 못하는 것을 의미하며 어린이의 감정이 수용되지 않고 의사소통을 방해합니다. 개방적 반응이란 다른 사람이 말한 것을 잘 듣는 것으로 어린이의 감정을 이해하며 수용과 관심을 나타냄으로 어린이로 하여금 자기의 이야기를 부모가 듣고 있다고 느끼게 하며, 계속 이야기하도록 격려하는 방법입니다.


























































말이란 항상 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과의 소통(Communication)으 장이다. 그러므로 서로가 항상 주의해서 해야 하는 것이 말이고 또 대화이다. 그러나 사람은 보통 감정과 상황에 매몰되어서 바른말 좋은 말 고운 말을 사용하는데 심히 인색하다. 부모는 특히 이 점을 많이 깨닫고 공부하여 훈련해야 한다. 아무쪼록 소생이 연구한 '부모와 자녀 간의 대화법'을 통해서 조금이라도 부모 된 자로서의 도리를 다 하시는데 소홀함이 없으시면 하고 진심으로 바란다. 모든 것은 단순히 한 두 번 읽고 지나서는 아무 소득이 없으니 설명드리는 글자 하나하나에 깊은 생각을 하시고 그 실천을 늘 습관화하시기를.. Drilling! Practice! Training 하시기를 바랍니다. (청산거사. 소천. 권용만 교수 드림)
__________________ ***** ________________
Dr. Gordon,
Widely recognized as a pioneer in teaching communication skills and conflict resolution methods to parents, teachers, youth, organization managers and employees, Dr. Thomas Gordon was the founder of Gordon Training International. His Gordon Model concepts are now known world-wide.
A licensed clinical psychologist, Dr. Gordon received his B.A. from DePauw University, his M.A. from Ohio State University, and his Ph.D. from the University of Chicago, where he served on the faculty for five years. From 1942-1946 he served in the Army Air Force.

He was the author of nine books: Group-Centered Leadership, Parent Effectiveness Training (P.E.T.), Leader Effectiveness Training (L.E.T.), Teacher Effectiveness Training (T.E.T.), Parent Effectiveness Training in Action, Discipline That Works, Sales Effectiveness Training (co-authored with Carl Zaiss), Making The Patient Your Partner (co-authored with W. Sterling Edwards, M.D.) and Good Relationships: What Makes Them, What Breaks Them (co-authored with Noel Burch). His books have been published in over 32 languages and over 7 million copies have been sold worldwide.
___________________ ***** __________________
다음은 소생같은 심리학자는 물론 이 세상 모든 사람들이 귀담아 들어야 하실 '시'이다!
'타인과의 원만한 관계를 위한 나의 신조'
토마스 고든
나는 당신과의 인간적인 관계를 소중히 계속해서 유지하고 싶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서로 다른 개인적 욕구를 가졌으며
또한 그 욕구를 충족시킬 권리를 가진 독립된 개인입니다.
당신의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문제가 생기면
당신이 나에게 의존하기보다는 당신 스스로 해결책을 찾도록
도와주기 위해 나는 진정으로 마음을 열어 귀 기울일 것입니다.
또한 그것이 내 신념이나 가치관과 다르다 할지라도
당신만이 가지는 고유한 신념과 가치관을
당신이 선택할 권리가 있음을 존중할 것입니다.
만일 당신의 행동이 나의 욕구 충족을 방해할 때에는
나는 당신의 행동이 나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나의 욕구와 감정이 무엇인지를 솔직하고 담백하게 이야기할 것이며
내가 수용할 수 있는 행동으로 스스로 수정할 기회를 드릴 것입니다.
우리의 욕구가 서로 달라질 때
그리고 당신의 욕구를 나의 욕구로 바꿀 수 없을 때에는
우리가 갈등을 겪고 있음을 인정하고
나의 욕구를 채우려고 당신의 욕구를
강제적으로 권위에 호소하여 누르지 않을 것이며
서로의 갈등을 해결하도록 같이 노력할 것입니다.
그러므로 누구도 패배하는 사람이 없도록
우리 서로가 수용할 수 있는 해결책을 같이 찾겠습니다.
이렇게 할 때 우리는
상호 성장에 도움이 되며 신뢰할 수 있는
두터운 관계를 형성해 나가게 될 것이며,
상호 간에 존경과 사랑, 평화를 만끽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 *****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우리나라의 고려와 조선시대에 교육기관으로 국가에서 설립한 향촌의 향교!
모든 인의예지의 도덕과 윤리의 산실!
아래는 소생이 청소년 유생 교육을 하고 있는 연천향교의 대성전!

(배움의 터전 연천향교. 소천 공자의 말씀인 논어. 중용을 강해하다)
2022. 12. 29. 목. 새벽 4시경에 up-dating

청산 산방. 작은 선비.
소천. 지행일치를 실행하기를 힘쓰는
선인. 권용만 교수
2022. 12. 24. 밥 11시경.
크리스마스이브날 저녁에
지행선인. 소천 글을 쓰다!
이 강의는 계속합나다!